728x90
반응형

LAB 6

전해연마로 grain을 관찰해보자

전해연마로 grain 관찰하기 일단 내가 작성하는 논문에 필요한 데이터 중 시편의 grain size가 있다.시편의 grain size를 알아내기 위해 전해연마로 시편을 연마한 다음 OM으로 미세구조를 확인해야 한다.   전해연마를 사용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grain을 관찰할 때는 사포를 이용해서 표면을 연마하고 나이탈 용액으로 에칭을 한다.하지만 내가 관측해야 하는 시편은 사포를 이용할 수가 없다.왜냐하면 시편의 두께가 0.1mm로 매우 얇은 시편이다.이렇게 두께가 얇으면 사포를 사용할 시 시편의 마모가 너무 심하게 일어나 갈려 나가게 되어 grain을 관찰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교수님 말씀으로는 0.3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시편은 전해연마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한다고 하신다.   전해연마의 최적점을 ..

도메인 구매 연결 (Vercel 도메인 연결)

도메인 구매 및 Vercel 연결하기  2024.09.16 - [LAB/LAB 홈페이지 제작] - Vercel 프론트엔드 배포 방법 (100% 무료) Vercel 프론트엔드 배포 방법 (100% 무료)배포를 해보자 우리 랩실은 올해 11월달에 한국자기학회에 참가할 예정이다.그 전까지 홈페이지가 완성 까지는 아니더라도 소개 페이지 정도 만들어졌으면 하는 교수님의 요청이 있었고, 그 전j-codingbox.tistory.com 도메인을 구매하기 전, Vercel을 통해서 먼저 배포를 진행한 상태이다.Vercel에서 도메인을 수정할 수는 있지만 무료 버전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맨 뒤에 ".vercel.app"을 무조건 붙여야 한다.배포를 연습해보고 간단하게 포트폴리오 정도를 만들 때는 큰 상관이 없..

[한국자기학회] 첫 학회 참석 후기

2024년 한국자기학회 동계학술대회2024 KMS Winter Conference  랩실 생활을 한지 벌써 5개월이 되어간다.그리고 11월 24일, 처음으로 학회라는 곳을 가보게 되었다. 학회는 바로 한국 자기학회!!https://www.magnetics.or.kr/ 한국자기학회 메인페이지 www.magnetics.or.kr 역시 자기학회라 그런지 로고에서 부터 히스테리시스 루프처럼 보이는 무언가가 보이고 있다.로고에서 부터 땀내가 나는 학회였다.  학회는 총 3일 동안 진행되었고 우리는 두 번째 날인 목요일에 학회를 참석하였다. 이번 학회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발표를 하는 활동을 하지는 않는다.그냥 학회 분위기를 한번 느껴보고 어떤 곳인지 보고 왔으면 좋겠다는 우리 교수님의 바램이 있었다.무엇보다 오후에..

일상 2024.12.01

컴포넌트 생성 후 map() 함수 사용

현재 만들고자 하는 UI는 다음과 같다. 멤버들 별 이름과 학력, 전공, email을 적고자 한다.위 UI를 보는 바와 같이 같은 UI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하여 컴포넌트를 생성 후 map() 함수로 뿌려주고자 한다.   컴포넌트 생성 나는 일단 Function Component로 만들었다.그리고 컴포넌트 폴더를 따로 만들어두는 편이다.src 폴더에 components 폴더를 만들고 "MembersProfile.tsx" 파일을 생성하였다. 함수 형태로 컴포넌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해야 한다.그리고 아래 코드와 같이 const로 컴포넌트 이름을 선언해도 된다.나는 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 생성 후 마지막에 export를 하면 다른 파일에서 해당 컴포넌트를 ..

LAB 메인페이지 제작

LAB 홈페이지 제작 어떻게 보면 교수님이 나에게 단독으로 맡기는 첫 번째 과제가 되는것 같다.우리 랩실은 신설 랩실이다.그래서 아직 우리 랩실을 소개해주는 홈페이지가 제작되지 않았다. 내 지도교수님은 내가 학교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 어떤 공부를 했었는지 잘 알고 계셨다.그 스토리가 궁금하다면 이 포스터를 읽어보길 바란다. 2024.09.12 - [일상] - 프론트엔드를 그만 둔 이유 프론트엔드를 그만 둔 이유이번 포스팅은 그림이 별로 없는 그냥 내가 주저리주저리 적어놓은 기억회상 이야기이다.조금 지루할 수도 있는 글일 수도 있지만내 삶의 전환점이 되는, 될 수도 있는 일들을 정리해보고자 한j-codingbox.tistory.com   이전에 아버지 회사 홈페이지를 만들었던 코드들을 이용해서 효율적으..

데이터융합철강재료설계연구실

신소재공학과  +  data science  이 두 조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처음 들었을 때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다들 궁금해 할 것이다. 우리 랩실에서는 두 가지의 분야를 다룬다.   철강 먼저 우리 랩실은 철강을 다룬다.철강 중에서도 전기강판, AM 적층소재, 자성재료를 다루고 있다.  쉽게 설명하면 Si의 함유량에 따라서 강판의 연성의 정도가 달라지고C의 함유량에 따라서도 강판의 자성 정도가 달라진다.또한 강판을 만드는 제조 공정을 어떻게 설계하냐에 따라서도 강의 성질이 달라지게 된다.밀링을 할 때 강의 두께를 어떻게 조정하는가에 따라서도 성질이 달라진다. 이러한 여러 변수들을 통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을 가진 강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고, 연구 분야가 된다.  사실 나는..

LAB/소개 2024.09.16
728x90
반응형